본문 바로가기

천천히 오르는 산

북한산성기(2)

3. 북한산성의 역사 - 축성과정


당시 숙종대에는 한양도성에 대한 보수, 남한산성의 동장대 앞 외성 축성 등 다양한 축성 사업이 이어졌다. 한양도성의 여러부분에 숙종대 축성의 흔적이 남아있는다. 북한산성은 이런 다양한 축성경험이 축적되어서 인지 공사관리를 잘해서인지 정확히는 파악이 안되나 단 6개월 만에 공사를 마무리 한다. 물론 애초부터 북한산의 입지에 의하여 축성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예견되어 왔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으리라 생각 된다. 각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공사를 하여 빠른 시간 안에 끝낼 수 있었다.


한양도성의 축성시기에 따른 형태 안내 -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은 여러차래 축성과 보수를 거친다. 주로 4차례의 공사가 있는데 숙종때 공사가 그중 큰 부분이다.




낙산에서 남삼으로 가는 한양도성의 성곽에서 세종대 축성과 숙종대 축성을 비교래볼 수 있는 구간이다. 



숙종대와 세종대의 축성형태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서울 성곽의 모습, 좌측이 세종대 우측이 숙종대





북한산성의 축성과 관리는 남한산성처럼 승병에게 맡겨 졌는데 이는 숙종 대에 남인인 윤휴가 북벌론을 꺼내 들면서 주장한 바도 있거니와 임진왜란 이후 승병이 조직화 될 수 있는 상황을 본 정부 입장에서는 승병을 아예 조직화 해서 정규 군인화 하고 산성 등에 배치 하는 것이 여러 모로 유용한 정책이었으리라 생각이 된다. 워낙 사찰이 조선시대에 산중에 있던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산성 축조에는 아주 적합한 인력이었을 것이다. 아울러 불교를 어느정도 인정해 주는 듯 하지만 결국 모자란 군역의 인원에 대해 승려들을 동원해서 채우는 효과도 있었으리라.

북한산성은 엄밀히 봐서 3단계의 공사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첫번째는 본성의 공사로 1711년 2월에 앞서 이야기 한바와 같이 왕이 그 뜻을 굽히지 않고 같은해 4월 3일 공사를 시작해서 9월에 공사를 마무리했다고 전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숙종 37년 10월19일에 북한성 역사를 마치다라고 하며 성곽의 개요와 들어간 비용등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의상봉에서 가사당암문 쪽으로 가는 중간의 북한산성

두번째 행궁의 조성으로 1711년 본성의 공사가 완료되기 직전인 8월에 담당관리를 지정하고 공사에 들어간다. 원래 내전의 완공은 10월, 외전은 이듬해 2월에 마치려고 하였으나 날씨등의 문제로 모든 공사는 1712년 5월에 가서야 완성된다. 아마도 숙종이 행차했을 당시는 내저과 외전의 일부만 공사가 완료된 시점이었을 것이다.


북한산성 행궁 사진


북한 산성 행궁의 옛날 사진은 노란잠수함님의 블로그에서 많이 볼수 있다. 


세번째 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먼저 본성을 완공한 뒤 숙종은 직접 시찰을 하고 나서 있는데 숙종은 공사 완공 이후 세자 영잉군(이후 영조)와 함께 북한산성에 오르면서 전시 통로인 대성문으로 가지 않고 대서문으로 돌아서 들어간다. 물론 전시가 아니니 굳이 고생스러운 길을 나이많은 숙종이 갈필요가 없었고 아울러 민정을 살피면서 가기 위함 이었을 것이다. 이때 대서문을 지나 시단봉에 올라보고 임금이 서문 가장자리가 가장 낮으니 중성을 쌓지 않을 수 없다며 속히 의논하여 쌓도록 명하였다.(숙종실록 51권, 1712년 4월 10일) 실제로도 북한산성 오르는 길중 대서문에서 대남문으로 가는 코스가 가장 편안한 산길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아마도 내부 길들이 정비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어쨌든 중성문과 아래의 수문은 이렇게 하여 1714년 중성문이 완성된다.


중성문 사진




아울러 북한산성의 본성은 아니지만 북한산성의 축조와 탕춘대성의 축조는 사실상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는 숙종 41년에 상신 이유에 의하여 북한산에 대해 조치할 일들을 올리는데 그 중에 탕춘대성의 조성에 대한 내용이 있다. 


(전략)

그는 아울러 다음과 같이 탕춘대성의 축조를 청하였다. 

 "탕춘대가 있는 지역도 역시 천연의 요새지입니다. 전에는 도성의 엣 성첩이 있었고, 후에 다시 북한산성이 새로이 쌓았는데, 지금은 수문 역사가 완전히 끝나서 허술할 우려가 없고 인민들도 편안히 살 생각을 가지게 되어, 단지 외적을 막을 수 있는 효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수문에서 서쪽으로 문수봉 앞까지, 또 백악산에서 대성문 밖까지의 지역에 장페물이 없습니다. 만약 지형의 험한 것만 믿고 그대로 방치한다면, 이는 만전의 계획이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신의 생각에는 이 두 방면에 토성을 쌓는다면 적은 공력으로도 충분히 적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 백악산의 상황을 살펴보면 북쪽의 대성문 밖 산록까지는 예로부터 소로가 있어,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도 없이 토사가 흘러내려 언덕이 점점 무너지고 있습니다. 그 외면을 따라서 견고하게 토성을 축조하고 토성 안쪽에다 새 흙을 보충하여 그 위에 떼를 입힌뒤에 잡목을 심는다면, 적을 방어하는 대책이 완비될 것이며, 산기슭이 견고해져서 영원히 무너질 근심이 없을 것입니다.

(후략)


국역북한지 42 page, 숙종 41년 을미에 상신(相臣) 이유(李儒)가 북한산에 대해조치할 일들을 전달하다 중에서




탕춘대가 있던 탕춘대터, 새검정 근처에 있다.



처음 북한산을 가기 시작할 때 탕춘대성을 따라 올라가는 코스로 많이 올라 갔는데 도저히 그 지세와 모양이 이해가 되질 않았는데 북한지에 나와있는 이유의 주장 내용과 고지도를 비교해 보고서 그 이유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붉은선이 대략적인 탕춘대성, 파란선이 한양도성, 파란색 동그라미는 탕충대 터의 위치이다. 탕춘대성의 우측이 평창동 지역이다.



도성의 둘레와 북한산의 굴레의 양쪽에 토성을 쌓고 그 중간인 평창동 지대에 곡식창고를 두면 도성에서 북한산성으로 피신할 때 주트가 보호가 됨은 불론 평창의 곡식을 북한산성내로 옮기는 시간을 벌 수 있다. 기리고 임금은 탕춘대성과 북한산 형제봉에서 북악으로 연결되는 산사이의 길을 따라 안전하게 대성문쪽으로 올라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창의문을 출구로 해서 인왕산에서 자락에서 탕춘대성이 시작해서 비봉으로 연결되는 형세를 가지게 된것이라고 한다.


이런 추가적인 주변 시스템의 정비가 끝남으로서 북한산성이 완전히 정비된 것이라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바로 얼마되지 않아 숙종사후 영조대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고 이 이후 한양의 방위 정책이 산성방수체제에서 도성수호체제 변경되면서 북한 산성의 중요도는 떨어지게 되었다.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형제봉 능선에는 산성이 축성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지의 저자인 성능도 이부분에 대해서 북한지 마지막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이 북한산성의 축성은 숙종 때에 시작되었으며 만세를 염두에 둔 심원한 계획에 의하여 이룩된 것이다. 축성한 이후에는 논의가 분분하였으나, 최근에 와서는 곧 아무도 이를 거론하지 않았다. 더 이상 그 당시 재상들처럼 전심전력을 다하여 계획하고 시행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즉 지난 날의 공훈도 모두 헛되이 사라지지 않으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국역 북한지 66page(1745년)


성능이 부간지를 기록한 것이 1745년이니 이미 이때는 숙종이 죽은지 25년 이후였고 때는 영조 때였다. 이미 많은 저간의 사정의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일단 숙종대 상평통보의 유통과 더불어 대동법, 고립제(삯을 주고 노동력을 구매하는 제도)의 시행과 유이민의 대책의 변화 등으로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한양의 영향권도 한강변까지 미쳤고 인구도 20~30만으로 늘어났다. 초기 10만 정도 산성에 들어가 싸운다는 것이 불가능해 져버렸다. 아울러 경제가 강해질수록 있는 자리를 지키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짐은 물론이다. 여기에 영조대에 왕의 정통성 시비로 인해 발발한 이인좌의 난을 겪으면서 영조가 절대 수도를 버리지 않겠다고 천명하면서 도성 사수론이 강화되게 되었다. 물론 임금의 보장처 개념이 사라진것은 아니지만 이런 정책 변화로 인하여 북한산성의 중요성은 점점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이 이후의 도성주변의 방위는 북쪽의 개성유수부, 서쪽의 강화유수부, 동쪽의 광주유수부, 남쪽의 수원유수부가 수도권 외곽을 담당하고, 도성의 외곽은 북한산성의 총융청(탕춘대성에 주둔), 남한산성의 수어청으로 도성 외곽을 방어하며 도성내에는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이 도성 내부를 담당하게 되어 조선 후기까지의 군사 체제가 정조대에 완비된다. 


(계속)


북한산성기 1 - 북한산성의 역사 


북한산성기 3 - 대서문~대남문 코스 

'천천히 오르는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성기(3)  (0) 2017.11.30
북한산성기(1)  (0) 2017.11.04
나의 둘레길 트래킹의 마지막 코스 3-2,3-3코스  (0) 2017.10.27
둘레길 3-1코스 다시 강넘어  (0) 2017.10.24
둘레길 8-1 구간  (0) 2017.09.23